농구, 배구, 축구 등 공을 다루는 스포츠에서는 손가락 부상이 빈번히 발생합니다. 만약 공을 잡거나 받을 때 손가락이 뒤로 꺾이거나 부딪치는 경우, 당장은 움직일 수 있다 하더라도 그 손상 정도에 따라 주의 깊은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손가락 부상 시 대처법, 병원을 가야 하는 상황, 치료 및 회복 방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손가락 부상의 원인: 농구 경기의 흔한 사고
농구를 하던 도중 공을 받는 순간 손가락이 뒤로 꺾이는 상황은 대부분 연부조직 손상인대,건(힘줄 손상)이나, 심한 경우 골절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아래와 같은 손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과신전(뒤로 꺾임)
공의 강한 충격으로 인해 손가락 관절이 과도하게 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인대나 관절낭이 늘어나거나 손상될 수 있습니다.
2. 인대 손상
손가락 관절은 여러 인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격으로 이 구조가 손상될 가능성이 큽니다. 더불어, 인대가 약간 찢어지거나 늘어나면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힘을 줄 때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3. 골절
가끔 공의 충격이 심하면 지관절(마디 부위)에서의 미세 골절이나 크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움직일 수는 있어도 통증과 함께 부기가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
손가락 부상 발생 직후 해야 할 응급 대처법
손가락 부상은 초기 대처가 매우 중요합니다.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회복 기간이 길어지고, 손가락 기능에 제한이 생길 수 있습니다.
1. 얼음찜질(냉찜질)
- 부상 직후에는 손가락과 손 주변에 냉찜질을 시행하세요.
- 20~30분간 얼음찜질을 한 후 잠시 쉬고, 2~3시간 간격으로 반복합니다.
- 냉찜질은 염증과 부기 감소에 효과적입니다.
2. 붕대나 반창고 고정
- 손가락이 움직일 경우 추가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니 테이핑 또는 **스프린트(손가락 부목)**로 손가락을 고정하세요.
- 집에서 간단히 가능하다면 깨끗한 천이나 붕대를 이용해 인접한 손가락 둘을 함께 묶어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3. 손을 높게 유지하기
- 손가락 부위의 피가 몰리지 않도록 팔을 심장보다 높은 위치로 들어주세요.
- 이는 부기를 더 이상 심해지지 않게 막는 데 유용합니다.
4. 소염제 복용
- 안전하게 복용 가능한 진통제나 소염제(예: 아스피린, 이부프로펜)가 있다면 이를 복용해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병원 진료가 필요한 상황은?
손가락 부상은 가벼운 경우 자연스럽게 회복될 수 있지만, 일부 경우에는 반드시 의료진의 진단이 필요합니다. 다음의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 방문을 권장합니다.
병원에 가야 하는 경우
- 통증이 심하거나 지속될 때
- 다친 지 하루가 지났음에도 심한 통증이 가라앉지 않는 경우
- 부기와 변색이 나타날 때
- 손가락이 부어오르며, 자주색 또는 검붉은 색으로 변하는 경우 혈관 손상이 의심됩니다.
- 움직임에 제한이 있을 때
- 손가락의 움직임이 불가능하거나 뻣뻣해지는 경우, 인대 손상 또는 골절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인접 부위의 통증
- 손목과 주변 손가락까지 통증이 퍼지거나 쑤시는 느낌이 들 때
손가락 부상 치료의 기본 원칙
1. 전문적인 진단 받기
- X-ray 또는 MRI를 통해 인대 손상 여부, 미세 골절 등을 확인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물리치료 또는 재활치료
- 손가락 조직은 다른 부위보다 민감하기 때문에, 심한 손상 후에는 서서히 움직이고 강도를 높이며 재활해야 합니다.
- 전문적인 물리치료 프로그램은 손가락의 유연성과 움직임을 복원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3. 보조기구 사용
- 일상생활에서 손가락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보조기를 착용하는 것도 적절한 방법입니다.
손가락 부상 후 회복을 위한 운동법
적절한 운동과 스트레칭은 손가락의 유연성을 되찾고 근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모든 운동은 부상이 어느 정도 안정된 후에 시행해야 합니다.
추천 스트레칭과 운동
- 테니스 공 잡기 운동
손바닥에 작은 공(또는 말랑한 스펀지)을 올리고 10초간 쥐었다 펍니다. - 손가락 스트레칭
손가락을 천천히 벌렸다 오므리는 동작을 반복합니다. - 부드러운 관절 돌리기
직선으로 손가락을 펴고 천천히 둥글게 돌려 관절을 풀어줍니다.
손가락 부상을 예방하는 방법
- 농구 시 올바른 폼 익히기: 공을 받을 때 손가락이 아닌 손바닥으로 충격을 분산시키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 테이핑 활용: 손가락 관절이 약하다면 스포츠 테이프를 사용해 손가락 관절을 미리 보호하세요.
- 근력 강화: 손가락 및 손목을 강화하는 운동을 꾸준히 실시하면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 대한정형외과학회
- 손운동 재활치료 백서 (대한재활의학회)
- 농구 부상 예방 가이드라인 (미국 스포츠과학 학회)
'건강한 생활 습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에서 나는 바람 소리? 이염 현상의 원인과 해결 방법 완벽 가이드 (0) | 2025.04.26 |
---|---|
편도 완전 절제 수술 전 가다실 9 접종, 맞아도 괜찮을까? (3) | 2025.04.25 |
모로반사란? 아기의 깜짝 놀람과 건강한 수면을 돕는 방법 (0) | 2025.04.25 |
눈이 부었을 때 어떻게 할까? 알레르기부터 응급 조치까지 알려드립니다 (1) | 2025.04.25 |
항문에 길쭉한 염증이 생겼다면? 원인과 치료 방법 총정리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