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생활 습관

농구 중 다친 손가락, 병원에 가야 할까? 손가락 부상 응급 처치부터 회복까지

건강한 생활 습관 2025. 4. 25. 18:42
반응형

농구, 배구, 축구 등 공을 다루는 스포츠에서는 손가락 부상이 빈번히 발생합니다. 만약 공을 잡거나 받을 때 손가락이 뒤로 꺾이거나 부딪치는 경우, 당장은 움직일 수 있다 하더라도 그 손상 정도에 따라 주의 깊은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손가락 부상 시 대처법, 병원을 가야 하는 상황, 치료 및 회복 방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손가락 부상의 원인: 농구 경기의 흔한 사고

농구를 하던 도중 공을 받는 순간 손가락이 뒤로 꺾이는 상황은 대부분 연부조직 손상인대,건(힘줄 손상)이나, 심한 경우 골절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아래와 같은 손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과신전(뒤로 꺾임)

공의 강한 충격으로 인해 손가락 관절이 과도하게 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인대나 관절낭이 늘어나거나 손상될 수 있습니다.

2. 인대 손상

손가락 관절은 여러 인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격으로 이 구조가 손상될 가능성이 큽니다. 더불어, 인대가 약간 찢어지거나 늘어나면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힘을 줄 때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3. 골절

가끔 공의 충격이 심하면 지관절(마디 부위)에서의 미세 골절이나 크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움직일 수는 있어도 통증과 함께 부기가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


손가락 부상 발생 직후 해야 할 응급 대처법

손가락 부상은 초기 대처가 매우 중요합니다.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회복 기간이 길어지고, 손가락 기능에 제한이 생길 수 있습니다.

1. 얼음찜질(냉찜질)

  • 부상 직후에는 손가락과 손 주변에 냉찜질을 시행하세요.
  • 20~30분간 얼음찜질을 한 후 잠시 쉬고, 2~3시간 간격으로 반복합니다.
  • 냉찜질은 염증과 부기 감소에 효과적입니다.

2. 붕대나 반창고 고정

  • 손가락이 움직일 경우 추가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니 테이핑 또는 **스프린트(손가락 부목)**로 손가락을 고정하세요.
  • 집에서 간단히 가능하다면 깨끗한 천이나 붕대를 이용해 인접한 손가락 둘을 함께 묶어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3. 손을 높게 유지하기

  • 손가락 부위의 피가 몰리지 않도록 팔을 심장보다 높은 위치로 들어주세요.
  • 이는 부기를 더 이상 심해지지 않게 막는 데 유용합니다.

4. 소염제 복용

  • 안전하게 복용 가능한 진통제나 소염제(예: 아스피린, 이부프로펜)가 있다면 이를 복용해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병원 진료가 필요한 상황은?

손가락 부상은 가벼운 경우 자연스럽게 회복될 수 있지만, 일부 경우에는 반드시 의료진의 진단이 필요합니다. 다음의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 방문을 권장합니다.

병원에 가야 하는 경우

  1. 통증이 심하거나 지속될 때
    • 다친 지 하루가 지났음에도 심한 통증이 가라앉지 않는 경우
  2. 부기와 변색이 나타날 때
    • 손가락이 부어오르며, 자주색 또는 검붉은 색으로 변하는 경우 혈관 손상이 의심됩니다.
  3. 움직임에 제한이 있을 때
    • 손가락의 움직임이 불가능하거나 뻣뻣해지는 경우, 인대 손상 또는 골절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4. 인접 부위의 통증
    • 손목과 주변 손가락까지 통증이 퍼지거나 쑤시는 느낌이 들 때

손가락 부상 치료의 기본 원칙

1. 전문적인 진단 받기

  • X-ray 또는 MRI를 통해 인대 손상 여부, 미세 골절 등을 확인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물리치료 또는 재활치료

  • 손가락 조직은 다른 부위보다 민감하기 때문에, 심한 손상 후에는 서서히 움직이고 강도를 높이며 재활해야 합니다.
  • 전문적인 물리치료 프로그램은 손가락의 유연성과 움직임을 복원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3. 보조기구 사용

  • 일상생활에서 손가락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보조기를 착용하는 것도 적절한 방법입니다.

손가락 부상 후 회복을 위한 운동법

적절한 운동과 스트레칭은 손가락의 유연성을 되찾고 근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모든 운동은 부상이 어느 정도 안정된 후에 시행해야 합니다.

추천 스트레칭과 운동

  1. 테니스 공 잡기 운동
    손바닥에 작은 공(또는 말랑한 스펀지)을 올리고 10초간 쥐었다 펍니다.
  2. 손가락 스트레칭
    손가락을 천천히 벌렸다 오므리는 동작을 반복합니다.
  3. 부드러운 관절 돌리기
    직선으로 손가락을 펴고 천천히 둥글게 돌려 관절을 풀어줍니다.

손가락 부상을 예방하는 방법

  • 농구 시 올바른 폼 익히기: 공을 받을 때 손가락이 아닌 손바닥으로 충격을 분산시키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 테이핑 활용: 손가락 관절이 약하다면 스포츠 테이프를 사용해 손가락 관절을 미리 보호하세요.
  • 근력 강화: 손가락 및 손목을 강화하는 운동을 꾸준히 실시하면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 대한정형외과학회
  • 손운동 재활치료 백서 (대한재활의학회)
  • 농구 부상 예방 가이드라인 (미국 스포츠과학 학회)



반응형